본문 바로가기
독서하기

[독후감]나는 엔화로 미국시장에 투자한다(부자소시민 지음)

by msh0512 2024. 2. 12.
728x90
반응형

나는 엔화로 미국시장에 투자한다(부자소시민 지음)

 

지은이 소개

이 책의 지은이 "부자소시민"은 직장인이면서 투자하는 파워플로거다(blog.naver.com/richsosimin). 책의 표지를 보니 카카오톡 오픈채팅으로 일반인들과 소통도 하고 있었다(open.kakao.com/o/gkzwmc8e)

2023년 후반기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엔화 환율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일본이 새로운 여행/관광지가 되고 있는데, 유투브에서는 너도나도 일본 엔화를 사야한다고, 그것으로 미국에 투자하는 상품을 사라고들 한다.

이래저래 맞는 말일 수 있기에 이번 책으로 일본쪽을 정리해 보기로 했다. 책은 누구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쓰여졌다.

 

책 내용 중 기억할만한 내용들...

Part 1. 당신이 엔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통화에 붙어 있는 가격표를 환율이라 하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통화 중의 으뜸통화를 "기축통화"라고 한다. 현재 전 세계의 기축통화는 미국의 "달러"다.

우리나라의 원화가치는 기축통화인 달러대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원화만을 기반으로 한 자산 배분 및 투자는 지양하고 달러기반의 투자에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 

그런데, 일본의 엔화는 기축통화에 준하는 가치를 지닌 "준기축통화"이다. 가장 좋지만 비싼 달러보다는, 덜 좋지만 너무도 싼 엔화를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 이 책의 핵심내용이다.  

최근 엔/원 환율은 100엔당 800~900원대를 오가며 역대급 저점을 형성하고 있다.
2009년 무렵에 1,500원을 훌쩍 넘었다는 걸 생각하면 지금이 얼마나 매력적인 가격대인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최근인 2020년 초,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시장이 급락하던 때에도 엔화 환율은 1,130원대까지 상승했다. 투자의 시계열을 최근 20년으로 넓혀 보아도 엔화 환율이 1,000원 이하에서 머물던 때가 그리 많지 않다.
그런데 지금은 심지어 1,000원도 아니고 800~900원대를 오가고 있다. 그야말로 가격 매리트가 극화화된 지점이고, 그렇기 때문에 비록 미국 달러에 비해 덜 우량하다고 할지라도 엔화에 관심을 가져야 할 충분한 시기인 것이다.

엔화 환율 변동시 예상 수익률
①  900원 → 800원 (-11.11%, 추가적인 환율 하락 가정)
 900원 → 1,000원 (+11.11%, 최근 20년 환율 수준 가정)
 900원 → 1,130원 (+25.55%, 2020년 초의 환율 수준 가정)
 900원 → 1,500원 (+66.66%, 2009년 초의 환율 수준 가정)

 

그럼, 이제 엔화에 투자하려면 어떻해야 하나?

우선 현찰 엔화와 전신환 엔화를 구분해서 환전하는 방법이 따로 있다. 현찰 엔화는 은행연합회 외환 길잡이 사이트(http"//exchange.kfb.or.kr/page/on_commisson.php)에서 수시로 바뀌는 은행별 환전 수수료/우대율을 미리 비교하고, 해당 은행 앱에서 환전 신청한 후 이후 영업점이나 외화 ATM에서 인출한다. 최근에는 환전 수수료가 저렴한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토스" 등도 있으니 이를 활용하는 것도 좋겠다.

전신환 엔화는 2023년 10월을 기준으로 "키움증권"에서 가장 싸게 환전할 수 있고, "토스"에서도 전신환 엔화 환전은 무료이다. 지은이는 키움증권에서 전신환 엔화를 환전한 후 NH나무를 통해 일본 주식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을 좋아한단다. 외화 가상계좌를 이용해 키움증권에서 저렴하게 환전한 전신환 엔화를 NH나무로 옮기는 것인데 참고로 증권사 계좌 간 직적접인 외화 이체는 불가하기 때문에 해당 증권사별로 연계된 은행의 외화 가상계좌를 만들어야 가능한 방법이다.

구분 거래
수수료율
환전우대율 특 징
키움 0.07% 기존 고객 95% /
신규 고객 92%
1) 2023년 10월 기준으로 실질 환전 비용이 가장 저렴하나, 2024년 1월부터 기존 고객의 환전우대율도 92%로 낮출 예정
2) 일본 주식 MTS 지원 불가
3) 키움증권의 일본 주식 수수료는 0.23%이지만, 이벤트 적용시 0.07% ($100 이상 거래시 수수료 혜택 자동 연장)
NH
나무
0.25% 기존 고객 100% /
신규 고객 95%
1) 환전우대율 자체는 가장 좋으나, 매매 기준환율 조정으로 인해 실질 비용은 키움보다 비쌈
2) 온라인 수수료는 키움보다 다소 비싸지만 일본 주식 MTS 지원 가능
3) 일본 주식 실시간 시세 무료 (이벤트 신청시)

한국
투자
0.28% 80% 환전우대율은 낮으나 24시간 환전 가능
신한
투자
0.25% 95% 1) 2024년에 다시 한 번 체크 필요
토스 - 100% 1) 환전우대율은 100%이나 타 은행이나 증권사로 이체하려면 수수료 발생 예상
2) 환전에 따른 환차익 위주 고려해야 함. (여행시 토스체크카드로 연계하여 사용 가능)

(주요 증권사별 일본 시장 온라인 수수요율 및 환전우대율 정리 (2023년 10월 기준)

 

일본 주식시장의 실시간 시세를 무료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야후재팬 파이낸스 (finance.yohoo.co.jp)"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단의 검색창에 숫자 네 자리의 종목별 티커를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하다.

(야후재팬 파이낸스 (finance.yohoo.co.jp) 홈페이지)

 

Part 2. 엔화로 살 수 있는 미국 주식 / ETF

1. 다우존즈 지수 ETF

티커 종목명 운용 보수 시가총액 환헤지
2562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Dow Average) Currency Hedge 0.28% 310억 ¥ O
2846 NEXT FUNDS DJA (Yen-Hedged) Exchange Traded Fund 0.33% 107억 ¥ O
2242 MAXIS NS Dow Industral Average ETF (JPY Hedged) 0.22% 3억 ¥ O
1546 NEXT FUNDS DJA (Unhedged) Exchange Traded Fund 0.33% 165억¥ X
1679 Simple-X NY Dow Jones Index ETF 0.55% 12억¥ X
2241 MAXIS NY Dow Instrial Average ETF 0.22% 12억¥ X
2235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Dow Average) NO Currency Hedge 0.28% 1억¥ X

 

1546은 주당 가격이 42만 원대로 다소 비싸지만 1주 단위로도 거래할 수 있는데 배당은 연 1회만 실시하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달러/엔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환헤지를 하지 않은 1546이 2562보다 큰 수익을 가져다 주었다.

 

2. S&P500 지수 ETF

티커 종목명 운용 보수 시가총액 환헤지
2563 iShares S&P500 JPY Hedged ETF 0.077% 539억 ¥ O
2521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S&P500) Currency Hedge 0.165% 439억¥ O
2630 MAXIS S&P500 US Equity ETF (JPY Hedged) 0.077% 269억¥ O
2634 NEST FUNDS S&P500 (Yen-Hedged) Exchage Tradge Fund 0.077% 244억¥ O
2248 iFreeETF S&P500 (JPY HEDGED) 0.077% 12억¥ O
1557 SPDR S&P500 ETF 0.0945% 61조 2,902억¥ X
1655 iShares S&P500 ETF 0.0770% 616억¥ X
2558 MAXIS S&P500 US Equity ETF 0.077%% 425억¥ X
1547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S&P500) 0.165%% 367억¥ X
2633 NEST FUNDS S&P500 (Unhedged) ETF 0.077%% 63억¥ X
2247 iFreeETF S&P500 (Non Hedged) 0.0770% 3억¥ X

 

1557은 주당 가격이 55만 원대로 다소 비싸지만 1주 단위로도 거래할 수 있는데 배당은 분기당 1회 실시하고 있다. 최근 기간별 연평균수익률은 무려 17~27%로서 환헤지 상품의 5~10% 수익률에 크게 앞서고 있다. 이 또한 최근 3년 동안 달러/엔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받은 영향일 것이다.

 

3. 나스닥100 지수 ETF

티커 종목명 운용 보수 시가총액 환헤지
2569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NASDAQ100) Currency Hedge 0.275% 258억¥ O
2841 iFreeETF NASDAQ (JPY JEDGED) 0.22% 94억¥ O
2632 MAXIS NASDAQ100 ETF (JPY Hedged) 0.22% 78억¥ O
2845 NEXT FUNDS NASDAQ-100(R) (Yen-Hedged) ETF 0.22% 35억¥ O
1545 NEXT FUNDS NASDAQ-100(R) (Unhedged) ETF 0.22% 469억¥ X
2631 MAXIS NASDAQ100 ETF 0.22% 147억¥ X
2568 Nikko Listed Index Fund US Equity (NASDAQ100) No Currency Hedge 0.275% 86억¥ X
2840 iFreeETF NASDAQ (NON JEDGED) 0.22% 19억¥ X

 

1545는 주당 가격이 약 19만 원대로 1주 단위로도 거래할 수 있는데 배당은 연 1회 실시하고 있다. 연평균수익률은 최근 1년 33.59%, 최근 3년은 21.62%를 기록했다. 작년 말 조정장 이후 시장이 크게 반등한 영향이다. 거기다 다른 환노출 ETF들처럼 달러/엔 환율이 크게 상승한 것까지 맞물리면서 YTD가 50%가 훌쩍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4. 추가적으로 고려할만한 ETFs

티커 종목명 운용 보수 시가총액 환헤지 주당 가격 거래 단위 배당 주기 연평균수익률
2244 Global X US Tech Top 20 ETF(나스닥 Top 10 종목 비중이 71.78%) 0.4125% 28억 ¥ X 1,379¥ 1주 연 2회 29.33%(YTD)
2243 Global X Semiconductor ETF(미국에 상장된 반도체관련 주요기업에 투자) 0.4125% 37억 ¥ X 1,192¥ 1주 연 2회 -
2867 Global X Autonomous & EV ETF(자율주행/전기차 분야 글로벌 기업에 투자) 0.7040% 3억 ¥ X 1,379¥ 1주 연 2회 19.13%(YTD)
1659 iShares US REIT ETF(미국의 리츠관련 기업에 투자) 0.22% 85억 ¥ X 2,532¥ 1주 연 4회 4.84%(YTD)
2866 Global X US Preferred Security ETF(미국 금융주의 우량주에 투자) 0.2575% 57억 ¥ X 898¥ 1주 월 1회 8.92%(YTD)
2095 Global X S&P500 Dividend Aristocrats ETF JPY Hedged
(미국 25년 이상 배당귀족주에 투자)
0.2750% 1.5억 ¥ O 1,005¥ 1주 연 6회 -5.14%(YTD)
2236 Global X S&P500 Dividend Aristocrats ETF
(미국 25년 이상 배당귀족주에 투자)
0.3025% 34억 ¥ X 1,043¥ 1주 연 6회 -
2868 Global X S&P500 Covered Call ETF 0.6385% 11억 ¥ X 987¥ 1주 월 1회 18.84%(YTD)
2865 Global X Nasdaq100 Covered Call ETF 0.6275% 32억 ¥ X 1,081¥ 1주 월 1회 29.53%(YTD)

 

 

 


Part 3. 엔화로 살 수 있는 미국 채권

티커 종목명 운용 보수 시가총액 환헤지 주당
가격
거래 단위 배당 주기 연평균
수익률
2620 iShares 1-3 Year US Treasury Bond ETF
(미국 중단기 국채에 투자)
0.154% 405억 ¥ X 333¥ 10주 연 4회 15.51%
(YTD)
2856 iShares 3-7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 0.154% 215억 ¥ O 707¥ 10주 연 4회 29.33%
(YTD)
1482 iShares Core 7-1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 0.154% 1,317억 ¥ O 1,714¥ 1주 연 4회 -8.20%
(YTD)
1656 iShares Core 7-10 Year US Treasury Bond ETF 0.154% 485억 ¥ X 284¥ 10주 연 4회 8.15%
(YTD)
2621 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 0.154% 874억 ¥ O 1,188¥ 1주 연 4회 -19.30%
(YTD)
1496 iShares USD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JPY Hedged ETF
(신용도 높은 투자등급 회사채에 투자)
0.308% 328억 ¥ O 1,779¥ 1주 연 4회 -7.82%
(YTD)
2554 NEXT FUNDS Bloomberg US Intermediate Corporate Index (JPY Hedged) ETF
(투자 적격등급인 중기회사채에 투자)
0.297% 144억 ¥ O 795¥ 10주 연 4회 -3.78%
(YTD)
1497 iShares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JPY Hedged ETF
(배당률이 높은 투기등급 회사채에 투자)
0.638% 169억 ¥ O 1,855¥ 1주 연 4회 -1.80%
(YTD)

 

Part 4. 일본 시장 투자, 이것만은 알고 하자!

일본 주식시장에서 미국 주식/채권 등에 투자할 땐 크게 두 가지 요소를 살펴야 한다. 바로 양국(일본과 미국)의 금리차와 달러/엔 활율이다.

구분 일본과 미국의 금리차 ↑ 일본과 미국의 금리차 ↓
달러/엔 ↑ 환헤지 ETF 트레이딩 / 일본 주식 ETF 환헤지 ETF
달러/엔 ↓ 환노출 ETF 환노출 ETF

 

일반적으로 말하면, 달러/엔 환율이 높은 경우에는 환헤지 ETF가 유리하고, 낮은 경우에는 환노출 ETF가 투자에 유리하다. 그리고 일본과 미국의 금리차가 커질수록 환헤지 비용도 커진다. 이 환헤지 비용은 ETF의 운용 보수와는 별도이기 때문에 명시적으로는 얼마인지조차 표시되지도 않는다.

다만 2023년 2월경 블룸버그의 자료에 의하면 환헤지 비용이 6%에 가까운 수준까지 증가했음을 알 수 있기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환헤지 ETF를 중단기 관점에서 트레이딩하거나 일본 주식 ETF를 매매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결국 일본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 시장지수에 투자하는 ETF나 일본 주식시장 자체를 투자대상으로 삼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다.

최근 일본의 대표 지수인 닛케이225 지수가 33년 만에 3만 3,000선을 돌파했다. 2023년 한 해 동안에만 +30%에 가까운 상승세를 보여 준 것이다.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랜 시간 저평가에 시달리던 일본 주식시장이 최근들어 꿈틀대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일본은 중앙은행의 초완화적인 통화정책, 엔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2% 이상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오랫동안 이어진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할 수 있을 거란 희망이 싹트고 있는 것이다.

올해 일본은 미국과의 금리차를 적어도 현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할 것이고 환율도 달러대비 강세가 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런 통화정책을 통해서만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길일 것을 알기에...

올해 관심을 가져볼만한 일본 주식ETF로 지은이가 정리한 표를 가져왔다.

 

한편, 일본시장은 0900~1500까지 개장이나 1130~1230까지는 점심시간으로 휴장이고, 1130~1205까지는 신규/정정/취소 주문이 불가하다.

 

마무리하며......

내 경우, 미국 국채가격이 하락되고 있으니 포트에 담으라는 채권 전문가들의 언급들이 있었기에 작년 후반기부터 미국 국채 및 브라질 국채까지 공부하려고 노력했다. 그런 중에 일본 엔화가 800~900까지 내려오는 상황이 더해져 일본 엔화를 기반으로 한 미국 주식/채권시장 및 브라질 채권에 투자하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유투브 위주의 공부를 하다 이 책의 이름을 알게 되어 도서관에 신규 서적 구입 신청까지 하게 되었다.

어느 투자대상을 선정하고 얼마나, 어떻게 투자하는지는 결국 개인적으로 결심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일본 엔화를 기반으로 한 투자에 나선다 해도 몇 년 후에 수익을 보려면 달러/엔 환율과 양국의 금리 차이 등 개인은 절대 예측할 수 없는 변수들이 나의 "운"과 같은 방향을 가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은이가 정리한 일본 주식시장에 관한 이 책의 내용들은 내 향후 투자생활에 커다란 데이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잘 쓰인 책을 읽는건 언제나 즐겁다.  

반응형

댓글